차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4-16 14:13
본문
미국 메모리업체 마이크론이 차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 본딩 기술인 '플럭스리스'(Fluxless) 도입을 검토 중이다.
해당 기술은 주요 경쟁사인 삼성전자도 올 1분기부터 평가에 들어간 기술이다.
국내 및 해외 주요 본더들과 두루 평가를 거칠 예정으로, 본더 기업 간 치열한 수주전이 펼쳐질 것으로.
한화세미텍은 차세대 장비인플럭스리스본더와 하이브리드 본더 장비 역시 개발 중이며, 향후 TC본더를 추가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로보틱스 또한 올해 가시적 성과를 위해 착실히 준비 중이다.
앞서 이번연도 초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푸드코트 주방에 조리용 협동로봇을 도입한 데 이어, 최근.
하반기 한미반도체는플럭스리스타입(FLTC) 본더 출시를 앞두고 있고, 하이브리드본딩 장비도 일정대로 내년께 출시한다는 입장이다.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올해 하반기 AI 2.
5D 패키지용 빅다이 TC 본더를 출시할 예정이다.
미국 매출 비중이 낮아 관세가 미치는 영향도 적다는 입장이다.
고객사 통보- 2분기 이후 미이크론향플럭스리스신규장비 출하 예상- 마이크론, 하반기 대규모 장비 발주 기대- TC 본더 25% 전격 인상.
고객사 통보- 목표가 100,000원※ 이 방송은 매일 오전 9시 50분 ~ 10시 49분에 LIVE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방송 종료 후에는 유튜브 또는 인터넷 다시보기로.
미국 스타트업 애서플럭스(Aetherflux)도 그 중 하나다.
우주 태양광 기술을 개발하는 애서플럭스가 최근 시리즈A 라운드에서 5000만달러(약 721억원)를.
브린리스콜로라도대 볼더캠퍼스 부총장은 "대부분 대학은 이러한 예산 삭감을 견딜 여력이 없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력하게 거론되는 건 '플럭스리스본더(FLTC)'로 적층 과정에서 칩 사이 플럭스 물질을 첨가하지 않아, 높은 HBM 단수를 쌓기에 TC본더보다 유리하다는 분석입니다.
[김형준 /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단장 : "16단으로 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본더)이 도입이 돼야 한다.
SK하이닉스가 MR-MUF라는 접착제를.
2025 베뉴의 판매 가격은 개별소비세 3.
5% 기준 ▲스마트 1,926만 원 ▲프리미엄 2,212만 원 ▲플럭스2,386만 원이다.
현대차는 2025 베뉴 출시를 기념해.
한편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Roblox)와 제페토(Zepeto)에 각각 '현대 퓨처 어드벤처(Hyundai Future Adventure)'와 '타임리스서울.
고객사 통보- 2분기 이후 마이크론향플럭스리스신규 장비 출하 예상- 마이크론 퀄테스트 통과로 하반기 대규모 장비 발주 기대- 목표가 100,000원 / 손절가 60,000원※ 이 방송은 매일 오전 9시 50분 ~ 10시 49분에 LIVE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방송 종료 후에는 유튜브 또는 인터넷 다시보기로.
웨트 사업부의 핵심 성장동력은 HBM 플럭스 리플로우 장비와 플럭스를 도포할 필요 없는플럭스리스리플로우 장비다.
2022년부터 SK하이닉스에 독점 납품했으나 지난해엔 매출 기여도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웨트 사업부 전체 매출은 약 287억원이었으며, 이 중 리플로우 매출은 약.
현재 주요 고객사에 공급 중인 HBM3E 12단용 장비에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신제품 FLTC 본더(플럭스리스타입) 장비를 출시할 예정이다.
하이브리드본딩 장비도 일정에 맞춰 개발 중이다.
시스템반도체용으로는 올 하반기 AI 2.
5D 패키지용 빅다이 TC 본더를 출시할 계획이다.
- 이전글업을 통해 확보 가능한 2030 25.04.16
- 다음글단백질 6g,식이섬유4g( 25.04.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